본문 바로가기

언론 Commuication & Jornalism

[언론의 발자취 자료 18] 교수들의 ‘책임면피용’ 시국선언

728x90
반응형

언론의 발자취 자료 18


교수들의 ‘책임면피용’ 시국선언

이윤영 한국언론연구소 소장

 CJI 연구소 운영위원장

​ 2004년 노무현 대통령 탄핵에 대한 논쟁을 기억하는가. 당시 ‘민중의 함성이 헌법’이라는 한 대학 교수의 주장과 ‘실정법은 민중에 의해 거부될 수 없는 것’이라는 어느 판사의 입장이 큰 논란거리로 등장했었다. 개혁과 혁명의 문제로 극렬화 됐지만, 결국 대통령직은 그대로 유지된 채 마무리됐다. 그 후 교수들의 작고 큰 시국선언이 있어왔고, 나름대로 사회를 재조명하도록 유도했다.

 하지만 최근 세월호 참사에 대한 연세대 교수들의 시국선언은 사건조사가 아직 진행 중인데다가, 원인 규명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차적 책임을 세월호 선장 선원과 청해진해운에 돌렸다. 그리고 스스로의 반성과 성찰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는 사건 본질을 외면한 시기 부적절한 분석으로 보여 안타깝다. 그러고는 언론과 정부의 책임 등을 묻고 전 국민의 자성으로 이끄는 시국선언문은, 사건 하나하나를 사례로 들지 않고 현상적이다 못해 인과율도 다소 애매모호하다 보니, 마치 책임면피용으로 비춰질까 우려스럽다.

 한 사례로 해경을 포함한 정부당국의 책임, 정경유착이라는 낡고 잘못된 관행, 언론의 신문고 역할 수행 등을 모르는 국민이 있는가 말이다. 지금은 그 고리를 끊을 수 있는 방법론이 무엇이며, 그 책임 소재를 가리려하는 것이다. 그게 언론이고 정부인가, 아니면 국민이란 말인가? 사건이 일어난 지 한참 지난 현 시점에서 세월호의 비극을 전 국민적인 참회와 반성의 계기로 삼고, 교수들의 자성을 물을 때가 아닌 것이다. 말 그대로 시기적절치 못한 뒷북인 셈이다.

 교수들의 시국선언문의 전반적인 내용은 설득력이 있어 보이지만, 사회가 이미 공유한 내용에 단지 교수들의 이름이 첨부 열거되어 있는 경우일 뿐이다. 한마디로 세월호 참사 같은 사회적 이슈에 학자들은 문제 의식이전에 선구자적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판단이 앞선다. 단지 뒤에 서서 지켜보다 선언문 낭독하는데 그쳤다. 전문적인 지식과 방법론으로 대안을 제시하는데 게을렀다는 것이다.

 대통령 대국민담화도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시점이고, 끊임없는 토론과 논쟁이 요구되는 때가 아닌가. 교수는 국민들에게 편견을 주지 말아야 하며, 사회적 이슈 공감능력이 여타 직업군 보다 뛰어나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극렬한 사회문제를 정확히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언론인과 성직자, 그리고 학자 밖엔 없기 때문이다. 지금은 세월호 참사의 실체를 정확히 분석하고 질문하며, 소상히 알릴 때인 것이다.

2014년 5월 CJI 연구소 편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