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Commuication & Jornalism

[언론의 발자취 자료 19] 논란증폭 ‘다이빙벨’, 청와대 공식 입장 듣고 싶다

728x90
반응형

언론의 발자취 자료 19

논란증폭 ‘다이빙벨’, 청와대 공식 입장 듣고 싶다

이윤영 한국언론연구소 소장

CJI 연구소 운영위원장 

 

아무리 인간을 위한 과학기술이라도 결코 중립적일 수 없다는 서글픈 말이 있다. 기술공학의 힘으로 창조해낸 장치나 장비는 현실 사회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게 아니라, 그러한 사회의 일부가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둘러싼 이론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 예컨대 국제적인 규모에서 대체에너지 개발 등이, 이에 호의적인 정부 입장과 달리 여러 사익에 맞부딪쳐 현실에선 순조롭지만은 않을 수 있다. 개발 규제기준도 모호한 경우도 더러 있다.


​ 이를 대변하듯 겉으론 인명구조장비에 불과한 ‘다이빙벨(잠수종)’이 세월호 침몰 현장을 철수한 지금도, 논란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어 안타까울 뿐이다. 편견과 오해가 쌓여만 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 언론보도 논조도 각양각색이다. 다이빙벨에 대한 부정론이 마치 정부의 입장인양 주장하는 논객도 있다. 이와 반면에 초동 대처로 일찌감치 투입됐어야 했다는 긍정론이 있는데, 이들 주장이 서로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더 이상 자신의 울타리로 넘어오지 못하게 하려는 배타적인 언행도 꺼려하지 않는다. 서로 다른 패러다임을 만들어 흠집 내기 바쁘다.

​ 당연히 불완전한 기술공학이 적용 돼 제작된 장비들이 대부분 그러하듯, 만병통치약 같은 걸 바라서는 안 될 일이다. 이런 전제를 이들이 인정하기 싫든 좋든, 공감해야할 부분이다. 이때 논란이 증폭된 다이빙벨에 대해 청와대의 공식 입장이 무엇인지 듣고 싶다.

​ 어린 목숨이 죽어가는 걸 보면서도, 자신만의 입장을 내세우며 대립각을 세울 수밖에 없는 현 상황을 더 이상 바라만 보고 싶지 않아서이기도 하다. 논란 종식이 때론 국민대통합으로 나갈 수 있는 지름길이라고 믿고 싶다.

 사람의 생명을 구하는 장비기술이 이데올로기 산물일 수 있는가? 더욱이 자칭 보수와 진보의 대결 잣대가 될 수 있는가, 말이다.

2014년 5월 CJI 연구소 편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