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국언론연구소

토론이나 대화에서 반드시 이기는 법? https://youtu.be/3pWA6tCPjzM 특수한 사실 전제가 있다. 이를 부정하여, 일반적인 사실로 전환하는 토론 대화 방식이 있다. 이해가 됐는가? 이젠 사례를 하나하나 들어보겠다. 성직자가 값비싼 명품을 사면,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지 않는다. 성직자가 명품을 사는 것은, 특수한 사실 전제이다. 이를 부정하면, 성직자는 사람이 아닌가요? 또는, 성직자가 값비싼 명품을 사지 말라는 법이라도 있나요? 성직자란 특수 사실 전제를 부정하여, 사람이나, 법 적용으로 탈바꿈 시킨다. 그리고 결과적인,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수 있다‘ 는 등의 말의 호응 관계를 잡아낸다. 결국 논리 기초의 집합 명제의 ‘역이대우’에서 ‘이’에 해당되는 피이면 큐의 명제를, ‘낫피이면, 낫큐’로 명제 참이라고 하더라도, .. 더보기
내 입이 최대 리스크? 어딜 가든 입 꾹 다물고 있으라고? https://youtu.be/zLoEKJzNqY8 어딜 가도 말 거는 이가 없다면, 분명 자신의 말만 평상시 그들에게 늘어놓았을 것이다. 상대는 지쳤을 것이고, 여자 친구든 남자 친구든, 그를 견디다 못해 떠났을 가능성이 높다. 너무 우월해서만 자의식 과잉이 생기지 않는다. 열등하다는 생각에 네 말은 관심 없고, ‘내 말 좀 들어봐’가 오래 지속되다 보니, 상대는 ‘넌 가만히 좀 있고, 내 말 좀 들어!’ 라고, 늘 말해 왔을 것이다. 하지만 그런 이들의 말조차 들려오지 않았을 것이다. 오로지 남들보다 내 걱정이 앞서고 나만이 관심사고, 중요하니, 자신도 모르게, 내 머릿속에 남들이 없었던 거다. 진심어린 말로 조언을 해도, 자의식 과잉인 이들은, “내가 뭘 잘못했다고 그래요, 마음에 상처만이 남았다니.. 더보기
내가 자신감 없는 게, 엄마 아빠 계층 재산 때문? https://youtu.be/50cHwgBdnFc 우리 사회는 안타깝게도 계층이나 경제적 계급 구조로,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게 되어있다고요. 이게 습관적 관습적 인과율입니다. 더 나아가 제도적일 수 있고요. 아, 그러면 제 자신감을 너머선, 무언의 사회적 박탈감이었던 거군요? 당신의 부모가 재벌 회장이라면? 자신감 있게 그 여자애에게 가까이 갔을 것 같아요! 더보기
버스 무정차 해결 방법? https://youtu.be/8W43_uutuWs 버스 무정차 제2편입니다. 세 개의 변수가 있다. 버스 기사, 지자체나 경영자, 승객이다. 이렇게 삼박자가 맞아야 시민의 발로 제 역할을 할 수가 있었던 거다. 버스의 무정차 문제를 가까이 들여다보면, 이 가운데, 버스 기사의 배차시간, 휴식시간 확보 등의 내면을 읽을 수 있다. 지자체나 경영자의 경우는 고용인원을 늘리거나, 추측컨대, 버스 운행 시간을 단축시켜서라도 원활한 운행을 원했는지도 모른다. 그래서 경영이나 정책의 기준은, 예산과 효율성이 중요 잣대가 된다. 그럼에도! 대중교통이 시민을 위한 서비스임을 고려해볼 때, 이 경우는 시민들의 ‘불편함’이 기준잣대가 될 수밖에 없었다. 돈 보다는 말이다. 더보기
코가 작아서 볼품 없는데, 내가 가장 잘 생겼다고? https://youtu.be/FaP3pkWGhbk “길을 걷다 보면, 열 명 중 몇 명이 못 생겨 보이던 가요?” “거의 여덟, 아홉 명 정도요. 다들 못생겼어요!” “코는요?” “엄청 코가 작더라고요! 왜들 그리 못생겼는지.” “좋아요, 봤던 열 명 중 비슷한 얼굴이 있었던 가요?” “음, 다 다르던 데요. 이제 보니, 엄청 신기하네요.” “그러면, 잘 생겨 보인 한 명은 얼굴이 어떻게 생겼죠?” “서양인처럼, 얼굴 윤곽이 또렷하고, 코도 컸네요!“ “오! 우린 그렇게 생긴 사람을 잘 생겼다고, 다들 말하는 것 같네요. 그런데 열 명 중 딱 한명? 백 명 한 두 명이 될 수도 있겠고요?” “맞아요, 그런 것 같네요!” “그렇다면, 그 한 사람이 잘 생긴 기준이 되는 거군요? 뭔가가 억울해 보입니다? .. 더보기
'거지 근성 친구' 와 잘 지내는 해법 2가지? https://youtu.be/gBXeV6Zfhtc 그 친구와의 만남은, 당신에게, 어떤 능력이 있어 그 친구가 다가왔는지 모르겠지만, 그나마 당신이 밥 사줄 능력이라도 있어, 이른바 관계가 만들어졌고, 인연이라는 게 생겼을 것이다. 아주 오래 전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말들 중에, 부모가 돈이 없으면, 자식들이 잘 찾아오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그래서 미리 자식에게 유산을 상속하면, 부모가 버림받을 우려가 있다는 뜻풀이로 본다. 그렇다! 아마도 정도가 심한지 약한지의 문제 일뿐, 저마다 우리에겐 거지근성이라는 게 있다. 스스로 모든 걸 내 자신이 해결하면서, 책임지고, 자수성가 하기는 정말 쉽지 않아서다. 그 친구가, 돈이 적거나, 씀씀이가 인색하거나, 그럴 수 있다. 그래도 그 친구만의 유머와 다정함이.. 더보기
학교 수업중에 학생들 휴대폰 사용을 금지할 수 없다? CCTV는? https://youtu.be/iRsoLJBCrqQ 학교 수업 중에 휴대폰 소지를 금지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다 보니, 수업에 지장을 주고, 교권 추락에도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하지만 학생인권 조례엔, 알려져 있는 내용과 다르다. 수업권 보장 위해, 학생의 휴대 폰 소지 사용 등에 있어 시간과 장소를 규제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뿐만이 아니다. 안전 관리를 위하여 CCTV도 설치 가능해, 학생 인권과 교권을 보호할 수 있다. 더보기
정부가 가뜩이나 어려운데, 월 3만원으로 대중교통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https://youtu.be/5YDko2D1jdk 부동산 등의 큰 규모, 즉 몇 억 몇 십억씩 오르락 내리락 하는 집값이 더 신경 쓰일 뿐이다. 이들에겐 전시성 법안에 지나지 않는다는 거다. 그 하나 얻으려고 또 세금은 오를 수밖에 없다는 거다. 하지만 이들과 달리 한푼 두푼이 어려운 서민들에겐 대중교통 비용은 정말 생존 생계의 문제까지 치닫는다. 서민이 많은가? 부자가 많은가? 당연히 가난한 이들이 대부분일 수 있다. 지금은 기후 위기 시대의 한 원인으로도, 폭우 장마로 사상자가 발생한다. 버스 전철 비용을 줄여,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 시키겠다는 취지가 담긴 법안일 수도 있다.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