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Commuication & Jornalism

[언론의 발자취 자료 9] '파벌 온정주의'가 한국사회 움직인다

728x90
반응형

언론의 발자취 자료 9

 

'파벌 온정주의'가 한국사회 움직인다

  

 

이윤영 한국언론연구소 소장

         CJI 연구소 운영위원장

 

한국사회가 또다시 청와대 정책실장, 교수와 연루된  ‘파벌, 온정주의’ 의 부작용으로 술렁이고 있다.

 언론은 이 부작용을 개인적인 사적 관계로 몰아 온정주의, 선정주의 논조로 보도하면서 노무현 정부의 레임덕 현상을 운운하고 있으나, 실상은 우리 사회의 뿌리박힌 ‘파벌주의’와 상통되는 것이다.


 우리 대학 사회뿐 아니라, 언론계, 정치계도 조폭 사회 버금가는 온정주의, 더 나아가 인맥과 파벌로 얽혀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학사회의 경우, 겉으로 보기에 아카데미즘으로 신성해 보이지만, 조금만 가까이 들여다보면 복잡한 인맥라인과 파벌로 풀기 어려운 실타래처럼 되어있다. 언론계도 비밀스러운 고급 정보를 다루고 있는데다가 기업광고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온정주의’로 둘러싸인 파벌과 학맥, 인맥을 무시할 수 없다.


 당연히 정치도 정당중심의 조직을 갖추고 있어, 인력을 뽑을 때 시험 등의 테스트보다는 학맥, 인맥 등의 추천으로 선거캠프와 정당 조직이 파벌처럼 구성된다.  


 결국 우리 사회는 파벌과 온정주의가 아닌 다른 잣대로 설명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실용주의적인 입장과 실적, 실력 중심의 인력구성 관계로 우리 사회를 설명하기에는 여러 한계에 봉착하고 만다. 방송 연예계도 실력 못지않게 ‘친척연줄이냐, 학교선배연줄이냐’ 등으로 얼룩져 있다.   


 직책에 대한 자리싸움도 실력위주라기 보다는 친한 정도와 파벌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다반사라서, 개인의견을 내세우기 보다는 집단의 의견을 따르는 경우가 더 많다. 대서사시 <실낙원>의 저자 존 밀턴(John Milton)이 말한 ‘양심에 따라 자유로이 말하고 논할 수 있는 자유’가 어느덧 사라져 버린다. 정책실장과 교수의 온정주의 등의 부작용은 우리 사회에서는 너무나도 만연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에 만연된 ‘파벌과 온정주의’에 표본일 수 있는 ‘교수 옹호 배후’ 찾기에 급급한 언론들의 보도행태는, 자칫하다가는 아무 대안도 만들지 못한 채 선정주의 보도 수준으로 나락할 여지가 많아 안타깝다.

 

 

2019년 현재와 2007년 9월의 언론의 역사와 논조 차이는 무엇일까?

- 이윤영 CJI 연구소 운영위원장.

 

 2007년 9월 CJI 연구소 편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