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 Commuication & Jornalism

[언론의 발자취 자료 33] 쌍용자동차 M & A 협상 "대우차 매각 방식으론 안 된다"

728x90
반응형

언론의 발자취 자료 33

쌍용자동차 M & A 협상

"대우차 매각 방식으론 안 된다"

(구 제목 : "대우차 매각방식 안 돼" 지적)

대우차 헐값 매각 .... 이윤창출  외국기업 30위

  쌍용자동차가 GM이나 르노 등 자금력이 있는 해외업체에 매각이 예상되는 가운데, 쌍용차 매각이 GM 대우 전철을 밟아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난 해(2002년) 10월 대우자동차가 GM에 인수 될 당시, 외국인 투자의 필요성과 미국 등 선진국들의 통상압력 해소를 위한다는 명목으로 대우차가 헐값으로 매각됐다. 

  또한 연세대 국제학연구단(단장 연세대 이영선 교수)이 내놓은 최근 '한국에 공헌을 많이 한 외국인 투자기업' 선정에서, 기업의 가장 중요한 지표인 이윤창출 측면에서는 (GM대우가) 르노삼성(1위), 토요타(20위) 등 유수 자동차 메이커업체 보다 뒤쳐진 30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자동차업체 일각에서는 쌍용차를 매각하는 협상과정에서 자금력이 뛰어난 업체라고 해서 매각하기 보다는, 협상력을 높여 이윤을 극대화시키고, 고유 쌍용 브랜드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선 과거 GM대우식의 매각방식으로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쌍용자동차처럼 대우차는 과도한 무이자 할부판매와 차입경영 등으로 99년 워크아웃(기업개선작업)에 들어가 매각이 추진됐다. 매각과정에서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포드가 2000년 9월 중도 하차했고, 이어 현대차 등도 독점 우려로 인한 불공정 거래 등의 이유로 포기했다. 극심한 자금난을 겪던 대우차는 같은 해 11월 최종부도를 내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정부 채권단 등 주요 협상주체자들은 따라서 대우차를 인수할 기업이 GM밖에 없어 대우차 법정관리 이후 협상력을 제고하기 보다는 GM으로의 매각을 전제로 강도 높은 구조 조정에 돌입했고, 부평공장의 생산직 근로자 1,750명 해고와 함께, 대우차가 헐값에 매각되는 시련을 겪었다. 당시 대우차 사무노위, 인천지역 시민단체는 고용보장 등의 이유로 해외 매각을 반대했었다. 

  단국대 김태기 교수 등이 지적한 '대우자동차의 매각과 협상'이라는 보고서에서는 "국내 완성업체 등에 대우차를 위탁경영으로 경영 정상화시키면서 매각을 추진하면 몇 십조되는 공적 자금을 낭비할 필요가 없었고, GM으로부터 제값을 받을 수 있었다"면서 "이 같은 매각 추진과정에서 협상전문가를 통해 협상력을 높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 보고서에서는 연간 영업적자가 5천800억원이었고, 부품협력업체가 매달 5-6개가 부도났던 당시 "대우차 노조, 사무노위 등이 근로자 해고 문제만을 앞세우다 보니, 거시적인 안목으로 매각협상이 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더욱이 GM대우가 이윤창출 측면에서 타완성업체들 보다 계속 뒤쳐질 경우, 2010년 정도까지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대우 브랜드는 더 빨리 사라질 것으로 보이고, 급기야 GM대우 근로자의 고용 안정과 생존권 보장 등이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된다. 

 쌍용차 노조 이영호 선전실장은 "과거 GM대우식 졸속 매각방식이 쌍용차 매각에도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쌍용차 (노조) 의 희생으로 순익 3천억원, 부채비율 124%의 초우량기업으로 성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채권회수만을 위한 졸속 매각이 추진되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매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쌍용채권단은 입찰 제안서를 받은 우선 협상 대상자를 선정해 이르면 연내 매매 양해각서를 체결할 계획이다. (이윤영 기자외)

2003년 12월 CJI 연구소 편집           


반응형